김진규
Kim Jin-kyu / 金振奎 / 1922  ~  1998
대표분야
배우, 감독, 제작/기획
데뷔작품
<피아골> 1943
활동년대
1950, 1960, 1970, 1980
DB 수정요청

필모그래피 (344)

더보기
감독 :
종자돈 (김진규, 1967)
배우 :
하녀의 방 (김인수, 1987)
욕망의 거리 (김현명, 1985)
초야에 타는 강 (김기, 1985) 김사장
아가씨와 사관 (이영실, 1984)
화평의 길 (강대진, 1984)
가고파 (곽정환, 1984)
야망과 도전 (남기남, 1984)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정진우, 1984)
사랑하는 사람아 제3부 (장일호, 1984)

주요경력

1968년 예총 부회장 당선, 역임
영화 배우협회 회장 역임
1982년 영화인협회 회장 역임

기타정보

관련글

더보기
  • [한국영화걸작선]벙어리 삼룡: 11월의 영화 Ⅱ 춘사나운규의 28주기 추모작품 신상옥 감독의 <벙어리 삼룡(1964)>은 “춘사 나운규의 28주기 추모작품”이라고 홍보되었다. <오몽녀>를 유작으로 남기고 1937년에 영면한 나운규는 1929년에 <벙어리 삼룡>을 감독하고 또 그 자신 삼... by.백문임(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020-11-16
  • [한국영화걸작선]연산군: 장한사모편: 9월의 영화 Ⅱ <연산군: 장한사모편>(이하 <연산군>)은 제1회 대종상에서 최우수작품상, 남우주연상(신영균), 여우조연상(한은진), 촬영상 등 여덟 개 부문을 휩쓸었으며, 이후신상옥의 대표작 중 한편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그런데 정작 신상옥은 자서전 <난, 영화... by.이용철(영화평론가) 2020-09-15
  • [한국영화걸작선]이 생명 다하도록: 6월의 영화 Ⅰ “당신이라면 이래도 살겠어요?이것은 남편을 잃고 어린 아들과 남편 고향에 살러 왔다가 아들마저 유괴로 잃는 여자의 이야기, <밀양>(이창동, 2007)의 카피 문구였다. 수난이 많았던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우리는 종종 이 질문과 마주친다. 그리고 이 질... by.박유희(영화평론가) 2020-05-29

영화인 정보조사

출처 : 한국영화인 정보조사
1922년 충남 서천에서 태어나 일본 오이타(大分)현 농업전문학교를 마쳤다. 귀국 후 20살 무렵 삼촌의 소개로 동양극장 무대에 서면서 연기자의 길로 들어선다. 해방 뒤 장동휘와 함께 극단 장미(薔薇)를 만들어 순회공연 중, 이강천 감독에게 발탁되어 <피아골>(1954)로 영화계에 데뷔했다(한겨레). 데뷔 당시부터 20여 년간 그의 한자 이름은 김진규(金振奎)라고 알려졌지만, 정확한 성명의 한자는 김진규(金振圭)이다(경향신문a). 이후 그는 1960년대를 대표하는 영화배우로 발돋움한다. 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 유현목 감독의 <오발탄>(1961) 등 개성 있는 작품에 잇따라 출연하면서 연기의 폭을 넓혔고, 강대진의 <박서방>(1960), 신상옥의 <로맨스 빠빠>(1960),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등에서 말쑥한 청년 역으로 주목을 모으며 인기 배우가 되었다. 그를 스타배우의 반열에 올려놓은 결정적인 작품은 신상옥 감독의 대표작 <성춘향>(1961)이다. 그는 ‘몽룡’ 역으로 특유의 깔끔하고 건강한 청년 이미지를 선보이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안정감 있는 연기력과 대중들의 사랑을 바탕으로 부일영화상,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대종상 등 당대 수많은 영화제의 남우주연상 및 인기상을 수상했다. 1967년 김진규는 김용익의 영문소설을 영화화 한 <종자돈>으로 첫 메가폰을 잡았다(동아일보a). 신영균과 김보애가 주연을 맡았고, 어촌 마을을 배경으로 한 문예영화였다. 이후 그는 전 재산을 털어 야심차게 <성웅 이순신>(1971)의 제작에 뛰어들었으나 흥행에 실패했다(경향신문b). 이후 제작에는 손을 떼고,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중후반에 이르기까지 배우 생활을 지속해 나갔다. 예총 부회장 및 영화인 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기도 했던 그는, 지병인 골수암으로 1998년 향년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동아일보b).

* 참고문헌
동아일보a 1967년 6월 6일자 5면
동아일보b 1998년 6월 19일자 14면
경향신문a 1976년 12월 16일자 8면
경향신문b 1977년 12월 27일자 5면
한겨레신문 1998년 6월 19일자 13면

[작성: 김한상]
출처 : 한국영화감독사전
1924년 5월 12일 충남 서천 출생. 대전중학교를 거쳐 일본 오오이다껜 농업전문학교 2년 수료. 영화계로 진출하기 전까지는 동양극장 등 무대에 선 연극배우였다. 20세 때 첫 출연한 이 공연의 레퍼터리는 <살구꽃>. 1954년 극단 장미를 이끌고 진해 공연에 나섰을 때 이강천 감독에게 발탁되어 그의 대표작 <피아골>(1955)의 주인공으로 출연, 영화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를 계기로 <아빠 안녕>(1955) <이 생명 다하도록>(1960) <오발탄>(196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새엄마>(1963) <벙어리 삼룡이>(1964) 등 흥행 및 작품성 있는 영화에서 기량을 발휘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정상급 배우의 지위를 누리게 된다. 그가 처음 메가폰을 잡은 것은 1967년 재미작가 김용익 원작, 임희재 각색, 신영균·김보연 주연의 <종자돈>.
서해안 어느 농촌을 무대로 암소를 가진 과부와 황소를 기르는 홀아비의 어린 아들 딸들의 눈에 비친 그들의 애정을 서정적인 풍경 속에서 녹여낸 작품이다. 그뒤 <성웅 이순신>(1970)을 사재를 털어 제작, 주연으로 내놓았으나 흥행에 실패함에 따라 더이상 연출에는 손대지 않았다. 한국배우협회 회장, 영화인협회 이사장, 예총 부회장 등 역임. 1998년 6월 18일 골수암으로 별세했다. 당시 75세.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