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씨의 발표회 
The Anouncement of Mr. Kant (Kanteussiui balpyohoe) 1987 년

담을 위치 선택

이미지 (20)

더보기

줄거리

사진작가인 주인공은 우연히 칸트씨라는 인물을 발견하고 그의 행동에 호기심을 느껴 그를 촬영하게 된다. 어느날 사진작가는 그동안 찍은 칸트씨의 사진을 인화해서 칸트씨를 기다리지만 전경으로부터 칸트씨가 잡혀간 상황과 그가 광주항쟁 때의 실종자였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괴롭게 돌아선다.

크레디트 (26) Full Credit

더보기
스태프

풀 크레딧 이미지 (14)

더보기

기타 수상정보

  • 제38회 베를린영화제 '포럼'부문 초청제/제5회 한국단편영화제 우수상

상세정보

등급정보
(1) 상영시간 35분 
노트
■ 광주를 모티브로 한 최초의 영화, 그러나 은유와 상징으로만(강소원)

■ 광주 문제가 언급된 최초의 16미리 장편영화(김동원)

■ 5월 아카시아꽃이 필 무렵이면, 광주항쟁의 기억이 떠오른다. 그러나 필자에게 광주는 간접경험일 뿐이다. 그 경험은 당시를 기록한 사진들과 망월동 그리고 5·18 집회를 통해 이루어진 것들이다. 하지만 그 기억은 잊을 수 없이 깊이 각인된 것들이었다. 그리고 한참 뒤 광주항쟁을 소재로 한 몇몇 영화들을 볼 수 있었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김태영 감독의 <칸트씨의 발표회>(16mm/ 1987년)이다. 광주항쟁을 다룬 거의 최초의 영화라고 할 수 있는 이 작품은 은유적인 방식이지만 당시로서는 매우 도발적으로 광주의 상처를 이야기한다. 알 듯 말 듯한 말들을 하면서 서울 시내를 쏘다니는 ‘미친 칸트’씨가 있다. 그리고 그를 쫓는 사진사가 있다. 영화 속에는 애국가가 울려퍼지고, 칸트씨는 태극기를 들고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것들을 이야기하고, ‘트럭에 싣고 어디 갔지’, ‘두부처럼 잘려나간… 젖가슴’을 중얼거린다. 그리고 광주항쟁을 담은 스틸컷과 고문받는 모습이 삽입된다. 한 사진사가 미친 사람을 쫓으며 사진을 찍는 구조 속에 광주항쟁의 이미지들은 강렬하고 세련되게 영화에 담긴다. 독재정권이 한 사람에게 어떤 시대의 아픔과 상처를 남겼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사진사는 칸트씨를 모델로 ‘자유’라는 이름의 사진전을 열지만, 칸트씨는 변사체로 발견된다. 광주의 상처를 함께 공유하고 아파하려 했지만 어쩌면 우리는 사진사처럼 광주의 상처를 바라보고만 있었는지도 모른다. 이 영화는 그 아픔을 다시 떠올리고 공유하려는 시도이다. (조영각)(『씨네21』 402호)

■ 시네마테크KOFA프로그램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특별전 - 빛나는 계절에 위대한 시민을 기억하며' 상영작(2020.5.16~24)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