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Water Mill ( Mullebanga ) 1966
극영화 미성년자관람불가 대한민국 92분 1966-11-10 (개봉) 46,798(관람)
제작사
세기상사주식회사
감독
이만희
출연
신영균 , 고은아 , 최남현 , 허장강 , 조항 더보기
스크랩하기 DB 수정요청

담을 위치 선택

이미지 (8)

더보기

줄거리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는 방원(신영균)은 우연히 들른 마을에서 여인의 버선을 줍고, 버선 주인인 아름다운 여인 금분(고은아)을 만난다. 그녀는 병자에게 시집와서 3년 동안 아픈 남편을 병수발해오고 있었다. 방원은 그녀에게 반해 이 마을에 머물기로 마음먹고 강첨지(허장강)네 머슴으로 들어간다. 얼마 뒤 금분의 남편은 병으로 죽고, 과부가 된 금분에게 강첨지는 빚인 벼 10섬을 탕감해줄 테니 그의 집으로 들어오라고 설득한다. 금분과 방원은 서로 사랑하게 되고, 금분의 딱한 처지를 알게 된 방원은 벼 10섬을 구하기 위해 이웃 마을 신첨지(최남현) 집에서 평생 머슴 살기로 약속한다. 방원은 강첨지에게 벼 10섬을 돌려주고 금분과 마을을 떠난다. 방원과 금분은 조촐하게 둘만의 결혼식을 올리고 신첨지네 집 머슴살이를 시작한다. 젊은 금분을 탐내는 신첨지는 호시탐탐 그녀와 둘만 있을 시간을 노리고 방원을 며칠씩 산 속 독 짓는 작업장으로 보낸다. 일을 마치고 돌아오던 방원은 실수로 신첨지의 독을 모두 깨뜨리고, 그 벌로 다시 작업장으로 쫓겨간다. 방원이 없는 사이 신첨지는 금분을 탐하고, 방원은 둘 사이를 의심한다. 무당을 찾아간 방원은 ‘여자 속옷을 훔쳐 강물에 띄워 보내면, 금분의 마음을 잡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아낙네들의 속옷을 훔치다 신첨지에게 발각된다. 그 벌로 방원은 죽을 만큼 맞고 그 집에서 쫓겨난다. 신첨지는 방원이 진 빚의 대가로 금분을 데리고 있겠다고 한다. 그날 밤, 방원은 금분에게 주려던 고무신을 숨겨둔 물레방앗간을 찾아가고 그곳에서 신첨지와 함께 있는 금분을 발견한다. 방원은 신첨지를 때려눕히고 금분에게 함께 떠나자고 하지만 겁에 질린 금분은 그의 부탁을 거부한다. 격분한 방원은 금분을 목 졸라 죽이고 그도 쓰러진다.

크레디트 (61) Full Credit

더보기
스태프
참여사
  • 제작사
    : 세기상사주식회사

풀 크레딧 이미지 (23)

더보기

수상정보

더보기

기타 수상정보

  • 베니스영화제(28회)-출품

상세정보

등급정보
(1) 심의일자 1966-11-09  심의번호 방제3893호  관람등급 미성년자관람불가  상영시간 92분  개봉일자 1966-11-10
개봉극장
명보
수출현황
일본.미국(67)
노트
■ 동네 축제 장면으로 시작하는 이 영화는 영화 초반부터 탈춤, 씨름대회 등의 장면과 자연풍경 등을 트랙촬영 및 페닝 등의 기법을 활용해 찍음으로써 토속적 이미지를 스펙터클로 제시하고 있다. 사운드도 판소리나 국악을 사용하여 전통적 요소를 강조한다. 원작에서 엿보이는 전근대적 모순에 대한 비판이 영화에서는 방원과 금분 부부가 강첨지와 신첨지에게 당하는 고난으로 구체화되면서 더욱 두드러지며, 인간의 성적 욕망이 전경화 된다.

■ 나도향 원작 소설 「물레방아」의 영화화

■ “이만희 영화의 또 다른 경지”(김영진) /“문예영화의 한계를 돌파하는 순수 영화적 순간의 발견”(허문영)/“이만희의 가장 아름다운 영화”(정성일)

영화평론가 허문영이 한국영화사상 가장 신비로운 영화라 칭할 정도로 아름다우면서도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초 주인공 방원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쓰인 롱쇼트는 기존의 시대극 영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연출인데, 이와 같이 시대극에 걸맞지 않은 다양한 각도와 지속시간의 쇼트들이 <물레방아>에는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는 이 영화가 단순히 문예 사극이라는 한계에 머무르지 않도록 만든다.
동네 축제 장면으로 시작하는 이 영화는 영화 초반부터 탈춤, 씨름대회 등의 장면과 자연풍경 등을 트랙촬영 및 패닝 등의 기법을 활용해 찍음으로써 토속적 이미지를 방원의 주관적 심상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촬영과 편집에서 나타나는 주관적 요소는 실상 이 영화의 스토리나 캐릭터와 일관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영화는 허구와 실재를 끊임없이 섞고 있으며, 주인공 금분과 방원의 정체성 역시 미궁에 빠진다. 요컨대 객관적 진실을 담보하지 않는 스토리와 캐릭터, 촬영, 편집이 맞물리면서 이 영화는 그 자체로 하나의 기묘하고 아름다운 수수께끼가 된다.
<물레방아>는 나도향의 「물레방아」를 원작으로 하였지만, 실제로는 원작으로부터 거의 아무 것도 차용하지 않은 특이한 문예영화이다. 시나리오 작가 백결이 이만희의 허락을 하에 원작으로부터 최소한의 모티브만 차용한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구성했다고 한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에로티시즘의 수위가 눈에 띄는 문제작이었다.

■ 제작후일담
- 이만희 감독과 1966년에서 69년까지 함께 작업했던 시나리오 작가 백결의 영화 데뷔작이다. 백결의 증언에 의하면, 이 영화는 <벙어리 삼룡>(1964)의 성공 이후 원작자 나도향의 인기가 급상승하는 분위기 속에서 제작되었다 한다. 백결이 이만희에게 나도향의 원작으로는 시나리오 작업을 하기가 어렵겠다고 하자 ‘제목 외에는 모든 것을 백결의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허락을 받고 작업을 했다고 한다.
- 한국영상자료원에 보관된 버전과 달리 당시 개봉된 프린트 버전에는 영화의 첫 장면과 거의 같은 장면이 마지막에도 반복되는 수미상관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 문예영화라는 장르 아닌 장르에서 태어난 기괴하고도 아름다운 걸작이다. 감독 이만희와 작가 백결은 나도향의 유명한 토속적 리얼리즘 소설로부터 무대와 인물만 가져왔을 뿐 대부분의 요소를 재창조 해, 누구도 상상하기 힘든 괴담을 빚어낸다. 현실과 악몽의 경계는 흐려지고, 귀기와 관능이 뒤섞이며, 서사는 출구 없는 미로로 이끈다. 우아하고 과감한 앵글의 촬영(서정민)도 더없이 매혹적이다.(허문영 영화평론가, 영화천국 61호)

리스트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100선 (2006)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100선 (2024)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100선(보는 사람) (2024)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100선 (2024)

관련글

더보기
  • [한국영화걸작선]물레방아 이만희 감독의 <물레방아>는 1966년 문예영화의 붐 속에서 제작된 영화이다. 이 영화는 당시 “본능에 사는 여주인공을 통해 인간의 원색을 표출”(한국일보, 1966.11.8)하는 “향토색 짙은 애욕의 비극”(조선일보, 1966.11.10)으로 &ldq... by.박유희(영화평론가) 2011-06-15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