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상 영화제
Daejong Film Awards
시작년도
1962년
개최월
12월

정부가 주관하는 영화 부문의 유일한 상으로 1958년부터 문교부(현 교육부)에 의해 실시되던 ‘국산영화상’을 2회 이후부터 공보부(현 문화관광부)에서 주관하면서 1961년 대종상으로 명칭을 바꾸어 1962년 제1회 시상식을 가졌다. 그 후 1969년 제8회와 1970년 제9회 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영화 부문)으로 명칭을 바꾸었다가 1971년 제10회부터 다시 대종상으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른다. 제12~17회(1973~1978년)까지는 문공부와 영화진흥공사가 공동주최했고, 18~24회까지는 영화진흥공사 단독으로 행사를 주최했다. 제25회(1986년) 때는 다시 영화인협회와 영화진흥공사가 공동주최했으며, 이때부터 영화인협회의 본격적인 참여가 이루어졌다. 제30회(1992년) 때부터 민간기업의 참여가 이루어졌는데 삼성그룹이 재정 후원을 담당했다. 이에 따라 행사주최도 영화인협회와 삼성 공동으로 이루어졌다. 제32회(1994년) 때부터는 삼성 계열 문화재단인 삼성미술문화재단이 대신 참여해 영화인협회와 삼성미술문화재단 공동주최로 바뀌었다. 대종상은 한국영화계의 대표적 영화제로 존속하면서 우수영화의 발굴 및 포상을 통한 진흥효과를 거둔 것은 긍정적이지만 정부의 영화계 통제수단으로 변질되거나 포상을 둘러싼 영화인들의 마찰 등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수상정보

더보기
261987
심의서류 테이블
순번 수상부문 작품명 제작년도 수상자
1 우수작품상 연산일기 1987 풍진흥업
2 공로상 김기범
3 감독상 연산일기 1987 임권택
4 각본상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1987 이윤택
5 촬영상 연산군 1987 이성춘
6 편집상 아다다 1987 박순덕
7 음악상 감자 1987 이철혁
8 녹음상 기쁜 우리 젊은 날 1987 이영길
9 미술상 연산일기 1987 도용우
10 기획상 연산일기 1987 김진문
11 남우주연상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1987 이영하
12 여우주연상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1987 강수연
13 남우조연상 감자 1987 이대근
14 여우조연상 감자 1987 김형자
15 음악효과상 연산군 1987 이재희
16 조명상 블루하트 1987 최의정
17 신인감독상 미미와 철수의 청춘스케치 1987 이규형
18 신인연기상 미미와 철수의 청춘스케치 1987 김세준
19 신인연기상 아다다 1987 신혜수
20 신인연기상 소금장수 1987 천은경
21 각색상 감자 1987 김하림
22 각색상 감자 1987 이희우
23 각색상 감자 1987 나한봉
24 각색상 감자 1987 홍종원
25 영화예술공로상 이석기
26 심사위원장상 두 여자의 집 1987 한혜숙
27 심사위원장상 두 여자의 집 1987 이미숙
28 공로상 노경희
29 반공영화상 독불장군 1987 삼진필름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