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상 영화제
Daejong Film Awards
시작년도
1962년
개최월
12월

정부가 주관하는 영화 부문의 유일한 상으로 1958년부터 문교부(현 교육부)에 의해 실시되던 ‘국산영화상’을 2회 이후부터 공보부(현 문화관광부)에서 주관하면서 1961년 대종상으로 명칭을 바꾸어 1962년 제1회 시상식을 가졌다. 그 후 1969년 제8회와 1970년 제9회 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영화 부문)으로 명칭을 바꾸었다가 1971년 제10회부터 다시 대종상으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른다. 제12~17회(1973~1978년)까지는 문공부와 영화진흥공사가 공동주최했고, 18~24회까지는 영화진흥공사 단독으로 행사를 주최했다. 제25회(1986년) 때는 다시 영화인협회와 영화진흥공사가 공동주최했으며, 이때부터 영화인협회의 본격적인 참여가 이루어졌다. 제30회(1992년) 때부터 민간기업의 참여가 이루어졌는데 삼성그룹이 재정 후원을 담당했다. 이에 따라 행사주최도 영화인협회와 삼성 공동으로 이루어졌다. 제32회(1994년) 때부터는 삼성 계열 문화재단인 삼성미술문화재단이 대신 참여해 영화인협회와 삼성미술문화재단 공동주최로 바뀌었다. 대종상은 한국영화계의 대표적 영화제로 존속하면서 우수영화의 발굴 및 포상을 통한 진흥효과를 거둔 것은 긍정적이지만 정부의 영화계 통제수단으로 변질되거나 포상을 둘러싼 영화인들의 마찰 등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수상정보

더보기
101971
심의서류 테이블
순번 수상부문 작품명 제작년도 수상자
1 최우수작품상 수상작 없음
2 문화영화장려상 육군사관학교 1970 한국문화영화공사
3 감독상 분례기 1971 유현목
4 남우주연상 대전장 1971 장동휘
5 여우주연상 분례기 1971 윤정희
6 계몽영화상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1970 우진필름
7 우수영화수입상 아라비아의 로렌스 1962 세기상사
8 각본상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1970 김강윤
9 우수계몽영화상영상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1970 국제극장
10 공로상 내일의 팔도강산-제3편- 1971 삼영필름
11 우수반공영화상 삼호탈출 1970 우진필름
12 우수반공영화상영상 삼호탈출 1970 동아극장
13 반공영화각본상 대전장 1971 곽일로
14 반공영화각본상 대전장 1971 한성
15 남우조연상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1970 최무룡
16 여우조연상 분례기 1971 사미자
17 신인상 화녀 1971 윤여정
18 문화영화특별상 아름다운 경기강산 1971 한국교육영화사
19 문화영화특별상 경부고속도로 1968 국립영화제작소
20 촬영상 화녀 1971 정일성
21 편집상 화녀 1971 김희수
22 음악상 분례기 1971 김희조
23 미술상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1970 박석인
24 녹음상 분례기 1971 이경순
25 조명상 화녀 1971 양찬종
26 최우수문화영화작품상 무명의 교사 서울문화프로모션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