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을 부르는 영화들, ‘짝뚱무술영화’가 온다! 시네마테크KOFA 12월 기획전 : 오승욱, 류승완, 주성철 액션 삼인방이 제안하는 변두리 액션 영화전

by.주성철(영화평론가) 2008-11-13조회 3,430
무술영화

한국액션영화를 말할 때, 최근 학계에서도 점차 연구가 진행 중인 대륙활극과 다찌마와리 액션영화의 틈바구니 속에서 전혀 주목받지 못한 영역이 있다. 바로 홍콩의 이소룡이 <당산대형>(1971)으로 시작해 <사망유희>(1978)로 짧고 굵게 영화인생을 마감하던 그 무렵, 그리고 성룡의 <취권>(1978)을 위시한 코믹 쿵푸 장르가 태동하던 그 즈음, 그러니까 이소룡과 성룡으로 대표되는 홍콩 무술영화가 국내는 물론 아시아 극장가를 호령할 때 한국판 이소룡과 성룡을 꿈꾸며 등장했던 수많은 ‘짝퉁 무술영화’의 계보다.

가장 화려했던 배우는 바로 황정리다. 당시 이두용의 <무장해제> 촬영장을 방문하기도 했던 홍콩의 제작자 겸 감독 오사원은 황정리를 눈여겨보고 홍콩으로 초청했고, 그는 성룡 주연의 <사형도수>(1979)와 <취권>(1979)에 상대 주인공 악역으로 등장하며 인기를 누렸다. 물론 그 이전에 한국에서 건너 간 김태정이 당룡이라는 예명으로 이소룡 사후 촬영이 중단됐던 <사망유희>(1978)에 이소룡 대역으로 출연해 완성한 경험이 있으며, 그보다 앞서 <맹룡과강>(1972)에서 이소룡과 대결을 벌였던 황인식은 황정리처럼 <사제출마>(1980)와 <용소야>(1982)에서 상대 악당 두목으로 등장해 가공할 발차기를 선보였다. 더 거슬러 올라가자면 장철의 <13인의 무사>(1970) 등에 출연한 김기주, 남석훈 등은 그들보다 앞서 쇼브라더스 영화에 초청받은 배우들이다. 이후 국내로 복귀한 그는 이두용의 <해결사>(1981)에서 현재 영화인협회 이사장이자 대종상 집행위원장이기도 한 신우철과 함께 주인공을 맡게 된다.

액션영화에 대한 대중들의 사랑이 점차 소멸돼갈 1980년대 초반, 그러니까 이소룡과 성룡의 등장 이후 모두 넋이 나간 채 명절마다 성룡 영화만 기다리며 한국액션영화의 독창성이 완전히 사라져 버린 그 시기, 김영일 등 홍콩에서 활약했던 몇몇 배우와 이두용 사단의 막내급이었던 정진화 등이 김정용 감독과 함께 일련의 짝퉁 무협영화들을 양산하기 시작했다. <복권>(1980), <소림사 주방장>(1981), <무림 걸식도사> 등 한국을 중국처럼 꾸미고 버젓이 소림사까지 등장시킨 이 영화들에서 정진화가 성룡처럼 장난기 가득하게 등장하고, 김영일이 늘 흰 눈썹과 수염을 달고서 악역을 도맡았던 이 영화들은 당시 홍콩무술영화에 대한 뻔뻔한 모방이었지만 이두용의 태권액션영화로부터 계승된 듯한 특유의 액션스타일과 호쾌한 발차기 위주의 액션은 반짝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1990년이 채 되기도 전 이른바 ‘개인기’를 지닌 이들 액션배우들은 하나둘 자취를 감추고 만다. 이두용의 마지막 액션영화인 <흑설>(1990)과 <장군의 아들>을 전후로 한국액션영화는 긴 침체기를 겪었다. 1990년을 전후로 그 즈음의 액션영화 인력들은 김청기와 남기남, 그리고 얼마 뒤의 영구아트무비의 아동오락 영화들과 몇몇 TV 사극액션드라마들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시의 배우나 스턴트맨을 거쳐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무술감독은 <우뢰매>(1986-) 시리즈에 참여했던 류창국과 <슈퍼 홍길동>(1987-) 시리즈에 참여했던 원진 정도다. 현재 맹활약 중인 정두홍, 전문식, 이응준 무술감독 등도 당시 아동오락 장르로부터 그리 멀지 않다. 그렇게 짝퉁무술영화의 세계는 현재 한국액션영화와 가장 직접적인 계보로 이어져 있다.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