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60년대 유명 감독들의 조연출을 거쳐 감독으로, 이후 영화계 후학 양성에 힘쓰는 교육자가 되기까지 최하원, 1937 분야 감독 채록연구자 김승경 구술면담일 2014-04~05

회차별 상세 목록

1 최하원 해제
2 최하원 인적 사항 및 활동 경력
3 최하원 구술채록 상세 목록
4 제1차 구술채록문| 어린 시절부터 영화감독을 꿈꾸는 청년이 되기까지

     1) 가족 관계와 어린 시절 혜화동 집과 주변 환경
     2) 어린 시절 놀이문화
     3) 초등학교 시절과 일제강점기 막바지의 기억
     4) 8.15 광복 직후 서울의 모습
     5) 해방 후 미군을 본 기억
     6) 삼청동 이사와 당시 청와대 인근 모습
     7) 어린 시절 읽었던 책들
     8) 어린 시절 보았던 영화와 공연
     9) 경복중학교 입학 이야기
     10) 한국전쟁 발발과 전쟁 초기의 서울 생활
     11) 9.28수복과 서울 생활
     12) 1.4후퇴와 제주도 피난
     13) 제주도 피난 생활
     14) 부산 피난 생활과 영화 관람
     15) 환도 후 고등학교 생활과 통속소설의 유행
     16) 전쟁 후 서울에서 관람한 영화들
     17) 영화감독을 꿈꾸게 된 계기
     18) 연세대 문과대 입학과 연희극회, 떼아뜨르 리이블 활동
     19) 영화 공부를 위한 미국 유학의 꿈과 군 입대
     20) 군 시절 영화 공부와 시나리오 작업
     21) 1950년대 청년들의 반공의식과 당시 정치에 대한 시각

5 제2차 구술채록문| 조연출 시절부터 1960년대 영화계 모습까지

     1) 1950년대 한국영화 소재들과 시나리오 습작 과정
     2) 1950년대 영화계와 조연출
     3) 4.19 이후의 사회 분위기와 신경균 감독의 작품들
     4) 이병일 감독 조연출 시절에 대한 소회
     5) 5.16에 대한 생각과 5.16 이후 영화계의 분위기
     6) 이병일 감독의 작업 및 영화 스타일
     7) 이성구 감독과의 작업을 통한 수련 과정
     8) 작곡가 최창권과의 작업과 영화음악에 대한 생각
     9) 조연출 당시 어울렸던 사람들과 영화에 대한 시각
     10) 감독의 영역과 시나리오 작가의 영역
     11) 데뷔작 <나무들 비탈에 서다>(최하원, 1968)1960년대 한국영화의 분위기
     12) 1960년대 문예영화와 한국영화의 질적 수준
     13) <독짓는 늙은이>(최하원, 1969)와 한국적인 것의 구현
     14) 제작이 좌절된 작품 <오계절>
     15) 1970
년대 초 일본영화 수입 반대

6 제3차 구술채록문| <독짓는 늙은이>(1969)부터 <소>(1975)까지의 작품 이야기

     1) <독짓는 늙은이>(최하원, 1969) 촬영 에피소드
     2) 당시 영화 제작 기술의 한계
     3) 편집 과정을 통해 배운 영화세계
     4) 동양영화사의 기획자 김승업과 제작자 이종벽
     5) 1970년대 한국영화 저질 논란에 대한 입장
     6) <고백>(최하원, 1971) 제작 이야기
     7) 청맥다방과 스타다방
     8) <무녀도>(최하원, 1972) 각색의 주안점
     9) <무녀도>(최하원, 1972) 제작 에피소드
     10) <다정다한>(최하원, 1973)의 기획과 시나리오
     11) <다정다한>(최하원, 1973) 여주인공 삭발 이야기
     12) <다정다한>(최하원, 1973)이 서울 개봉관에서 개봉 못 한 이유
     13) <다정다한>(최하원, 1973) 촬영 에피소드
     14) 1970년대 한국영화와 외국영화의 위상
     15) 청춘물 <서울의 연인>(최하원, 1973) 연출
     16) 영진공 시나리오 선정작 <희망의 속삭임> 제작 불발
     17) <갈매기의 꿈>(최하원, 1974)과 제주 로케이션
     18) 한국적인 것의 구현에 대한 생각
     19) 영화화되지 못한 작품 <폭설>
     20)
미감아 문제를 다룬 작품 <타인의 숨결>(최하원, 1975)
     21) 1970
년대 우수영화선정제도에 대한 생각
     22) 청각장애인을 다룬 작품 <마지막 포옹>(최하원, 1975)
     23) <
>(최하원, 1975) 촬영 이야기

7 제4차 구술채록문| 1970년대 중반 이후의 작품 활동과 후학 양성

     1) 반공영화 <나는 살아야 한다>(최하원, 1976)
     2)
조연출 시절과 감독 데뷔 이후 경제적 어려움
     3) <학도의용군>(최하원, 1976) 전쟁 장면 촬영의 어려움
     4) 1970년대 반공영화와 새마을영화
     5) 1976년 제작사 전속 감독제를 둘러싼 문제
     6) 자작 시나리오 작품 <표적>(1977)
     7)
배우와 스태프들과의 교감
     8) 개봉 당시 난해하다는 평을 받았던 <절정>(1978)
     9)
가족 간의 문제를 다룬 <황혼>(최하원, 1978)
     10)
정치·사회에 대한 우회적 비판 <30일 간의 야유회>(최하원, 1979)
     11)
도자기 전통에 대한 관심 <비색>(최하원, 1979)
     12)
성범죄 피해자의 고통을 다룬 <겨울사랑>(최하원, 1980)
     13)
산악영화 <메아리>(최하원, 1980)
     14)
국군홍보관리소에서 연출한 군영화들
     15) 천주교 박해를 소재로 한 영화들
     16)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의 후학 양성
     17) 한국공연윤리위원회 전문위원 시절 영화 검열 에피소드
     18) 중국 본토와의 최초 합작 <노국공주와 공민왕>의 기획과 중단
     19) 영화진흥공사 당시 모습과 현재 영화진흥위원회에 바라는 점
     20) 후학들을 위한 영화 관련 번역서와 서적 집필
     21) 작품 연출의 주안점
     22) 선배 영화인들에 대한 시각
     23) 영화에 대한 신념과 후배들에게 전하는 이야기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