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성, 1929 분야 스태프(촬영) 채록연구자 이정아 구술면담일 2017-04~05

회차별 상세 목록

1 해제문
2 경력사항
3 제1차 구술채록문|일본에서 보낸 어린 시절과 귀국 후 서울 생활
1)  동경에서 보낸 어린 시절
2)  조선인의 정체성을 깨닫게 된 소학교 시절
3)  동경의 조선인 유학생들
4)  동경 대폭격과 피난
5)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운 아오모리 피난 시절
6)  독서를 좋아했던 어린 시절
7)  해방 후 미군정이 배급한 영화들
8)  귀국을 위해 머물렀던 시모노세키 항
9)  귀국 후 진해에서의 생활
10) 해방 공간의 혼란 속에서 보낸 대학 시절
11) 소중한 가르침을 준 교수 부부
12) 해방 공간의 대중문화와 예술인들의 삶
4 제2차 구술채록문|영화계 입문과 수련과정
1)  한국전쟁과 군 복무
2)  미공보원 근무와 공군홍보 영화 제작에 참여 하기까지
3)  김학성 기사의 문하를 거쳐 데뷔하기까지
4)  예술인들의 거리, 명동 이야기
5)  60, 70년대 명동의 대표적인 무도장 이야기
6)  50년대 한국영화의 붐과 몰려드는 투자
7)  군사정권의 등장과 검열 그리고 미국영화의 유행
8)  일본 유학과 구로사와 아키라와의 만남
9)  교훈이 되어 준 영화들
10) 5.16과 화폐개혁 당시 촬영한 영화 <동경에서 온 사나이>(박성복, 1962)
5 제3차 구술채록문|1960년대 한국영화의 기술과 1970년대 주요 작품들
1)  촬영감독의 역할에 대하여
2)  1960년대, 한국영화의 다작 시대
3)  1960년대 촬영 시스템
4)  영화의 스타일을 만드는 촬영감독
5)  순발력이 요구되는 촬영현장
6)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하는 촬영감독
7)  영감을 준 두 명의 감독, 잉마르 베리만과 구로사와 아키라
8)  1960년대 한국영화의 열악한 환경
9)  외국 지명이 등장하는 한국영화의 제작 배경
10) 김기영 감독과의 첫 번째 작품, <화녀>(김기영, 1971)
11) 실험적 스타일을 추구한 <파계>(김기영,1974)
12) 동인제로 참여한 <이어도>(김기영, 1977)
13) 한라산 오픈 세트에서 촬영한 <문 門>(유현목, 1977)
14) 장소의 한계를 극복해야 했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유현목, 1978)
15) 1970년대 문예영화의 성장 배경
6 제4차 구술채록문|독자적인 영상미학의 구축과 1970년대와 1980년대 주요 작품
1)  하길종 감독과의 만남과 <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5) 촬영
2)  <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5) 흥행과 하길종 감독과의 에피소드
3)  <별들의 고향(속)>(하길종, 1978) 촬영 에피소드
4)  1970년대 다양한 영화 운동과 새로운 시도들
5)  직접 소재를 제공한  <가위 바위 보>(김수용, 1976) 촬영 이야기
6)  수많은 테스트 끝에 탄생한 <화려한 외출>(김수용, 1977)의 인트로 장면
7)  영화의 격조와 리듬을 만드는 인서트 촬영에 대하여
8)  동시녹음 도입이 배우에게 미친 영향
9)  텔레비전의 성장과 한국영화의 쇠퇴
10) <을화>(변장호, 1979) 촬영 중 발생한 교통사고
11) 악화된 건강과 싸우면 촬영한 <사람의 아들>(유현목, 1980)
12) 대수술 후 제안 받은 <만다라>(임권택, 1981)
13) 전국을 누비며 촬영한 <최후의 증인>(이두용, 1980)
14) 태흥영화사 창립 작품 <장남>(이두용, 1984)
15) 엄혹한 현실을 담고자 했던 <만다라>(임권택, 1981)의 촬영
16) 길의 미학을 만들기 위한 <만다라>(임권택, 1981) 헌팅
17) 스크린 프로세스로 만들어낸 <길소뜸>(임권택, 1985)의 역사적 장면
18) 빛을 연구하기 위한 헌팅과 촬영
19) 파나비전 카메라로 촬영한 <황진이>(배창호, 1986)
7 제5차 구술채록문|세계에 알린 한국적 영상미와 임권택 감독과의 작업
1) 표현의 자유를 촉구하는 성명서 발표 참여
2) 1988년 서울 올림픽 기록 영화 촬영
3) 어둠과 밝음이 공존했던 80년대 영화계
4) 한국영화 흥행기록을 바꾼 <장군의 아들>(임권택, 1990)과 <서편제>(임권택, 1993)
5) 척박한 민초의 삶을 영상으로 담아 낸 <개벽>(임권택, 1991)
6) 한국적 영상 미학을 위한 헌팅과 <서편제>(임권택, 1993) 촬영
7) 전통 문화와 영화의 만남, <서편제>(임권택, 1993)
8) 촬영의 노하우가 요구되는 오픈 세트 제작
9) 현대사의 아픔을 담아낸 <태백산맥>(임권택, 1994)
10) 한국적 색채와 영상미를 담아낸 <춘향뎐>(임권택, 2000)
11) 한국화의 아름다움을 영상으로 담아낸 <취화선>(임권택, 2002)
12) 세계에 알린 한국의 영상미
13) 현대사의 굴곡과 주먹 세계를 담은 <하류인생>(임권택, 2004)
14) <서편제> 이후 13년 만에 완성한 <천년학>(임권택, 2006)
15) 한국영화의 미래를 기대하며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